SMALL

2011년 위장질환으로 잠시 고생한 적 있습니다. 원인과 병색을 전혀 모르고서 몇달을 보낸 탓에 병이 드러났을 때는 꽤

 

심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나중에 돌이켜보면 최초 증상은 최소 두달 전에는 병이 있었는데 그게 위장 질환임을

 

몰랐었죠ㅜ 

 

 당시에 엄마가 그런 걱정을 하셨던 기억이 나요. '위장병은 한번 걸리면 잘 안 낫는데...' 

 

저 역시도 주변에 위장병이 심한 사람들을 보면 그렇게 보였고.. 그래서 저도 꽤 오래 고생하겠구나 생각 했었어요. 최소

 

몇달에서 몇년.. 어쩌면 평생 갖고 살아가야 할 수도 있겠고요.

 

 그런데 당시에 진료봐주시던 의사는 정 반대의 얘기를 했었어요. '오래 전부터 이랬던게 아니라면 원인만 차단해주면

 

바로 좋아질 거다.' 당시에 원인을 의사와의 면담에서 바로 찾아내지는 못 했지만, 추후에 생각해서 찾아낸 것을

 

차단하니 급속도로 좋아졌습니다.;; 뭐 하루하루 눈에 띄게요.; 

 

 지금은 위장으로 고생 전혀 안 하고요. 그 원인은 폭식이었어요...; 딱 이것만 잡으니까, 모든게 해결 됐습니다.;; 

 

 일반적으로 만성 위장질환 가진 사람들이 꽤 있고, 그런 분들은 성격이나, 생활습관, 한의학적 체질 등으로 위장질환이

 

생기고, 잘 안 낫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것을 보고 위장질환 전체가 잘 안 낫는다고 오해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의외로 잘 낫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스스로가 잘 찾아보고 원인 차단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 아닐까 생각해요.

BIG
SMALL

지금은 비린 음식, 알러지 때문에 못 먹는 음식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음식을 먹어서 전반적으로 잘 먹는어른이지만,

 

어린 시절에는 많이 달랐습니다. 안 먹는 음식이 참 많았죠. 기억나는 것들을 나열하자면 사과, 막국수, 냉면, 잔치국수,

 

칼국수, 단무지, 김밥 등이 있네요. 나열해보니 그렇게 많은 것 같지가 않네요.;;; ㅋㅋ 더 많은 아이들도 있을 것 같아요.

 

어린 아이들 대부분 저 정도 하지 않나 싶기도 하고.

 

 지금은 잘 먹는 음식들을 어릴 때는 전혀 안 먹었어서 스스로 특이하게 느꼈던 것 같기도 해요.

 

그런데 어릴 때 안 먹었던 음식들의 대부분은 커서도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그런 것 보면 어느 정도는 음식취향이 어릴

 

때 이미 정해지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들어요. 다만 먹다보니 괜찮은 것이 아닐까...

 

 반면, 막국수와 냉면은 지금은 환장을 하지만, 어릴 때는 전혀 먹지 않았어요.

 

이건 어느 정도 자라고 나서야 그 맛을 알게된 케이스 같아요. 아마도 그 이유는 식초와 동치미 국물 때문으로 생각

 

됩니다. 시큼한 맛이 나는 음식들을 모두 안 좋아했거든요. 그래서 단무지도 안 먹었겠지 싶고요.

 

 저의 케이스를 보면 어릴 때 편식 심하다 싶은 아이들에 대해 너무 걱정하거나, 억지로 먹일 필요 

 

없다고 생각되는데, 또 어른인데 안 먹는 것 투성이인 사람 보면 좀 안 좋아보이기도 합니다ㅜ 

BIG
SMALL

 가끔 티비에서 수타면 뽑는 모습이 나오면 신기하게 쳐다보고, 간혹 수타면을 주무기로 영업을 하는 간혹 있습니다. 


솔직히 흔하디 흔한 기계면보다 대단해 보이고, 신기하게 보이고 그렇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비기, 신기한 것 정도는 아닙니다. 학원에서 가르치는 곳이 있어요..;;(제가 아는 그 곳이 지금은 


없어졌다는 얘기가 있네요.;)


 학원 과정을 마치면 대부분 수타면을 뽑을 수가 있습니다. 어찌 보면 당연하게 느껴지기 해요.


 중국에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수타면 인력이 있을텐데, 비기라면 그 많은 사람들이 할수 있을리가


 없겠죠.


 순수 밀가루와 물의 반죽으로만 하면 더욱 어려워지는데, 소다, 면첨가제 등을 쓰면 훨씬 쉬워집니다.


 그냥 면을 어느 정도 뽑는거는 의외로(그렇다고 절대 쉽다는게 아닙니다. 연습 많이 해야 합니다) 


많이 어려운 것이 아니고, 얼마나 균일하게 뽑는가, 결정적으로 하루에 그 반죽을 다 뽑아낼 속도와


체력이 되는가가 훨씬 중요합니다.



 실제로 수타면 하는 집에 가서 먹어본 적 있는데, 어떤건 새끼손가락 만하고 어떤건 소면 수준이고,


그렇게 뽑는 곳이 있더라고요...; 분명 그 정도면 업장에 있으면 안 되는 것 같은데, 그래도 


수타면이라고 장사가 되긴 하나 봅니다.;; 실력이 출중한 수타면장이 있는 곳이라면 훨씬 균일하게 나왔을텐데.

BIG
SMALL

 아무거나 잘 먹어대는 지렁이들은 수와 덩치를 마구 불렸고, 다른 통에다가 몇 마리 옮겨놓자 그 


친구들도 번식을 했습니다. 그런데 지난 번에 말씀 드렸듯이 물이 점점 고이는 문제가 있고, 


음식물들이 점점 쌓여서 냄새가 나는 문제가 추가로 생겼습니다. 냄새가 약간 나도 괜찮을 것 같은 


옥상으로 옮겨놨었는데... 그게 문제였습니다...ㅜ 지렁이들이 모두 죽어버렸습니다ㅜ 38도에 달하는 한여름 폭염에 


본의 아니게 흙과 같이 구워버린 것이죠.ㅜㅜ


 

 처음에는 방에다가 놨다가 냄새가 많이 나서 문 옆에 그늘에다가 놨는데, 그 때도 괜찮았었는데...


 한 여름의 옥상은 더워도 너무 더웠나봅니다. 낮기온이 38도씩 되던 미친 날씨긴 했어요..ㅜ


 그 엄청난 날씨에 그늘에 있던 지렁이들도 다 죽어버렸습니다ㅜ 


 그늘이고 뭐고 그런 날씨에는 지렁이가 못 버티는 거였죠. ㅜ 몰랐습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땅도 비옥하게 하는 지렁이... 조금 더 실험해 보려합니다.ㅜ

BIG
SMALL

  엄청난 악필인 저는 초등학교 때부터 담임선생님에게도 이미지가 안 좋거나 혼나는 경우가 많았어요.


 반면 글씨를 잘 쓰는 학생은 예쁨 받았었던 기억이 납니다.


 어린 시절 저의 글씨를 교정해보고자 엄마는 잔소리를 많이 하셨었는데, 아무런 개선이 없었죠. ㅎㅎ


 그래서 가까이에 있는 서예학원에 가서 상담을 하셨습니다. 붓글씨와 함께 손글씨도 같이 해주실 수 


있느냐고. 뭐 수강료 준다는데, 마다하진 않으셨죠.


 오래 다니지는 않았지만 붓글씨는 워낙 섬세하고 어려운걸 감안해도 어느 정도 늘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손글씨는 전혀 늘지 않았습니다. 아니, 자세히 말하면 학원용 글씨체(예쁘기는 하나


속도가 너무 느리고 힘들어서 오래 쓰지 못 하는)가 새로 생기고, 예전 엉망인 글씨체는 그대로 유지가 


됐었습니다.



 내가 원해서 한 것도 아니고, 철저하게 부모님의 바람으로, 억지로 끌고가는 학원 선생님의 지도로


예쁜 글씨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냥 적당히 학원에 간 그 시간을 때우려 하는 것이 어린 


아이의 마음이었겠죠.


 일단 원해야 했고, 학원에서 연습하는 시간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연습도 계속 했어야 


했겠지만 그건 어느 정도라도 즐기는 마음이 없으면 안 되는 것 같습니다. 


공부건 운동이건 예술이건 본인의 의지가 있지 않으면 안 되는 겁니다...


 시간이 지나고 보니, 악필 교정을 좀 해둘걸 하는 후회가 되긴 합니다. 어릴 때는 잘 쓰려고 하면 


잘 쓰는 글씨가 나왔지만 다 자란 지금은 그게 안 되거든요.


 그래도 손글씨를 쓸 일이 점점 줄어서 참 좋습니다... ㅎㅎ 이렇게 블로그도 타자로 치고...ㅋㅋ


 

 

BIG
SMALL

저희 집 옥상에는 아주아주 작은 텃밭이 있습니다. 


너무 작아서 잎채소와 방울토마토, 고추를 심어요. 잘 자라는 편이고, 활용도도 높다는 그런 이유 때문이죠.


 그런데 아무래도 거름에 소홀하다보니 어느 정도 크다가 못 크는게 있습니다. 전문 농사꾼처럼 


비료, 거름을 할리가 없으니까요 ㅎㅎ...


 그래서 지렁이를 구매해서 풀어놓기로 생각했었습니다. 지렁이가 토양에 좋은건 어딘가에서 들은 


적이 있는데(상식으로 많이들 알고 계실겁니다.), 음식물 쓰레기도 처리가 된다고도 들은 적 있어서 토양에 좋고, 


음식물 쓰레기 줄여주고 1석 2조 아니겠습니까? ㅎ


 일단 실험 삼아서 스티로폼 박스 안에 흙, 지렁이를 넣고, 염분기 없는 음식물 쓰레기를 넣어두니, 


음식물 쓰레기도 줄어들고 지렁이들도 쑥쑥 크더군요. 



 그런데 솔직히 음식물 쓰레기 줄어드는건 티가 크게 안 나요; 왜냐하면 집에서 생기는 쓰레기의 양이 


더 많았거든요;ㅎ 그래도 지렁이가 막 자라는거 보면 뭘 먹고 자라겠습니까. 음식물을 먹겠지. 


 한가지 문제가 있었는데, 아래로 물이 자꾸 고인다는 거였습니다. 음식물과 지렁이에서 생기는 수분이


아래로 고이는 거였겠죠. 찾아보니 그 현상 때문에 구멍을 뚫어서 물이 빠지게 하더라고요. 아무런 


지식 없이 시작한거라 생기는 문제였습니다.; 


 그래도 지렁이가 주체가 안될 정도로 많아지고 커져서 나름 절반의 성공이라고 할수 있겠네요 ㅎ 


그런데 그 이후 지렁이들을 깡그리 죽이는 결과가 생겼었습니다ㅜ  


 그건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할게요.

 

BIG
SMALL

 

제가 기억하는 어린 시절부터 저희 집은 한달에 한번씩 꼭 삽겹살을 먹었습니다. 꼭 아버지 월급날이었어요. ㅎ 


월급날이 아닌 때에도 먹기도 했고요;ㅋㅋ 


당시 삼겹살 시세를 잘 모르겠지만, 고기를 사서 집에서 먹는 것은 부담되는 비용이 아닌 것 같았어요. 한달에 한번은


 기본이고, 놀러가면 먹고, 아줌마들끼리 모여서 먹고 친척들 모이면 또 고기 먹고... 그런 기억도 있긴 하거든요. 


 어린 나이였음에도 고기맛을 아는 것은 물론 먹는 양도 상당했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서울로 전학 오면서 마장동 축산 시장이 상당히 가까워서 여전히 돼지고기. 특히 삽겹살 사랑은 


계속 됐습니다. 강원도에서보다 당연히 싸게 사올수가 있었으니...ㅋㅋ


 그런데 아버지의 청춘도 점점 저물어가고 배가 나오시고, 저 역시 경도비만에서에서 중도로 바뀌는 심각함을 


인지하던 중 삼겹살의 가격은 오르고, 건강에 좋지 않다는 말들이 많이 돌면서 거의 안 먹고 살게 됐습니다. 외식 


가게가 삽겹살집인 경우는 아주 가끔 있어도 집에서는 안 먹은지 굉장히 오래됐죠.


 끊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가끔 생각은 나지만, 다른 부위로 제육 볶음으로 먹기도 하고, 앞다리나 목살 같이 구이가 가능한 다른 부위로 


대체해서 먹기도 하지만 예전처럼 한달에 한번 꼭꼭 푸지게 챙겨 먹던 것은 전혀 안 해요. 그렇게 하면 솔직히 너무 


많이 먹어서 돈도 많이 나가고요. ㅎ 당연히 건강에도 안 좋고요..


 쓰다보니 삽겹살 땡기긴 하네요 ㅋㅋㅋ

BIG
SMALL

 저는 결혼식처럼 제사 역시 바꿔야 한다고 생각 하는 사람 중 하나 입니다. 


 요즘은 언론 매체에서도 그 점에 대해 많이들 다루고 있는 것을 보면 확실히 과거의(생각보다 얼마


안된) 제사 문화에 대해 문제 인식을 하고 있기는 한것 같습니다. 그래서 미래는 지금까지보다 희망적일거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제가 느끼는 제사문화에 대해 적어보고자 합니다.



 * 스케일 자체가 큰 이유 : 결혼문화, 장례식 문화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하객의 숫자와 예식장의 규모, 하객의 숫자, 


화환의 숫자처럼 제사상이 다양하고 화려한 것에 의미를 두는 것이 출발이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거기서 출발해서 대책 없이 커지다보니 딱 맛 있게 먹는 양만큼 뿐만 아니라 한꾸러미씩 싸줘도 남는 음식을 처리하는 


정도의 규모가 되고, 큰 문제는 그걸 만드느라 물적, 심적 자원이 엄청나게 낭비가 된다는거죠.




* 예전에는 그게 왜 가능했을까? 뭐가 문제일까?



 1. 농경문화 측면 : 60~70년대에는 농사 짓는 집안이 더 많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에 제사문화가 그 때에 자리 


잡혔다고 하는 말이 있습니다) 부모님이나 장남은 농촌에, 부모님과 함께 농사를 지으며 남는 경우가 많았고요. 


그래서 고향이라는 말을 들으면 농촌, 어촌이 떠오르게 됩니다. 


농경문화에서는 인력 자체가 많았고, 그만큼 큰 일(제사)를 벌이는 일에 노동력을 쏟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심적인 것은 뒤로해도 일단 가족 내에서 인력 자체가 풍부했던 거죠. 그때에 걸맞게 만들어진 문화라 인력 자체가 


줄어든 현대인들이 그 문화를 그대로 하기는 불가능합니다. 어느 정도는 간소화 했다고는 하나 여전히 간단하게 할수 


있는 규모는 아니라서 이걸로 갈등이 생기고 조리된 음식을 사서 하기도 합니다.


 2. 여성의 사회적 인식적 변화 : 요즘은 맞벌이 부부가 많죠. 명절이나 제사 때가 아니어도 일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일을 하면서도 제사까지 챙겨야 하는 거죠...ㅜ 


농경사회처럼 총력전이 가능했던 때가 아닌 상황에서 그 때의 문화를 그대로 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또 


여성인력이나 인권에 아무 관심이 없던 때와는 다릅니다. 당시에는 여성들이 힘든 것에 별 관심이 없었습니다. 구박 


받고, 쥐어짜고 심지어 폭행하거나 내쫓고 그런 일들이 당연하게 여겨지던.. 전혀 보호 받지 못 했던 시기였죠. 제사가 


힘들다고 한들 불만을 표하고 거부할 수 있는 때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다릅니다. 



 3. 핵가족화. : 80, 90년대에 핵가족화라는 말이 참 많이도 나왔습니다. 당시에 배울 때 조금은 부정적인 느낌으로 


보이기도 했었는데.. 하여튼 핵가족화로 명절, 제사가 있을 때 한 집으로 모여야 하는데, 이 과정이 힘들 수도 있고, 


갈등의 씨가 되기도 합니다. 


예전 농경사회 때는 이런 문제가 전혀 없었다고 볼수 있겠습니다. 각각의 가구들이 한 동네에 모여사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고, 가족이라는 인식이 강해서 갈등상황 자체가 지금과는 인식이 다릅니다. 


 핵가족화가 되어도 한참 된 지금 시기에 제사는 대가족 때 스타일이라 더욱 힘든 것 같습니다.




 


 

BI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