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저는 완전 성인(30대 후반)이고, 영어과의를 받고 있습니다. 거의 1년 됐으니 나름대로 작심삼일은 훌쩍 넘어서 하고 있는 거죠.

저 어릴 때도 영어교육, 특히 조기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았을 때라 영어학원을 다닌 경험이 적잖이 있어서 차이점과 장단점을 주관적으로 말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비용적인 측면에서 학원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학원은 어릴 때 다녔지만 물가상승률을 생각했을 때, 평범한 학원은 비싸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달에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에서부터 학원이 저렴하지만 수업 횟수 역시 학원이 많기 때문에 수업횟수와 가격만 보면 학원에 훨씬 가성비가 좋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아무래도 학생의 학습상태를 섬세하게 살피는 데에는 한계가 좀 더 있을 것이며 학생이 많을시에 획일적으로 수업을 진행하게 되는 면이 있을 수 있을 겁니다.

사정상 빠지거나 해서 생기는 공백은 그대로 두고 진행되게 될거고요.

학생이 많지 않은 곳에서는 좀 여럿을 대상으로 하는 과외처럼 신경써주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개인적인 경험 상으로 많이 내성적인 경우 학원 수업이 힘들었습니다. 잘 모르거나 친하지 않은 사람과 말을 하는 것부터 부담스러워 하는데 외국어를 한다면 부담이 더 커집니다. 보는 눈들이 있다보니 틀리거나 지적 받는 점에서도 많이 위축되기도 하죠.

언어습득의 특성상 대화연습을 하도록 하는데 많이 부담스러워 했습니다. 게다가 어릴 때는 재미있게 해준다고 퀴즈나 게임 같은걸 하는데 승부근성도 없고 내성적인 입장에서는 괴로운 지경이었어요..

 

 

과외는 회당 수업료를 계산하는데 학원보다 수업시간 대비 비용이 많이 듭니다. 성과나 학력이나 해외 생활 경험 등 요소들로 수업료를 높게 잡는 분들도 있습니다.

요즘은 줌 같은 동영상, 음성 앱을 통해 원격으로 수업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그러면 가격을 저렴하게 한다거나 공간 제약이 줄어드니 원하는 선생님에게 쉽게 수업 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저는 과외를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제 성격입니다. 보는 눈이 선생님 딱 한명이라 사람에 대한 부담 자체가 적고, 틀리거나 느리거나 하는 점에 대해서 눈치 보는 것도 적고요.

 

수업시간이나 일정에 대해서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합니다. 회당 수업이 보통이기 때문에 그로 인한 손해나 진도공백에 대한 부담도 없고요. 다만 일정이 꽉꽉 차 있는 선생님이라면 그것도 조정이 쉽지 않을 것이기에 비교적 자유롭다고 표현했습니다.

 

 

과외는 커리큘럼에 대해서도 자유롭게 맞춤이 가능합니다. 제 경우는 회화는 별로 관심이 없고 독해와 작문을 하고 싶었는데 해당 과정을 진행하는 성인 학원은 가까이에 없더군요. 영어학원의 대부분은 어린이 대상이고 그나마 있는 성인 대상 학원 중에는 회화, 시험준비 과정이 대부분 입니다...

제 담당 선생님 제자 중엔 한 시간 중 30분은 독해, 문법. 30분은 회화. 이런 식으로 진행하는 분 있다고 하더라고요. 저에게도 회화를 좀 하는걸 권하시지만... 외국인과 대화하고 싶어하지도 외국에 나갈 생각을 하는 것도 아니라서 흥미가 안 생겼습니다...

 

반대로 외향적이고 사교적인 사람이라면 학원에서 여러 사람들과 교감하고 대화하는 것이 즐거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회화가 주목적인 사람은 선생님과의 회화 뿐만 아니라 비슷한 수준의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해보는 것이 좋은 영향을 미치는 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겪어보진 않았지만... 언어는 어느 정도 다양한 사람들과 말을 주고 받는 쪽이 효과적일 거라고 생각됩니다.

 

성격이나 학습속도. 지리적인 위치. 원하는 커리큘럼 등을 고려해서 정하시되 학원, 과외 다 가능한 상황이면 다 해보고 더 좋다고 생각되는 걸 하는게 제일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많이들 학원은 다녀본 경험이 있을테니 과외도 경험 해보는걸 추천해 봅니다.

BIG
SMALL

 가끔 티비에서 수타면 뽑는 모습이 나오면 신기하게 쳐다보고, 간혹 수타면을 주무기로 영업을 하는 간혹 있습니다. 


솔직히 흔하디 흔한 기계면보다 대단해 보이고, 신기하게 보이고 그렇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비기, 신기한 것 정도는 아닙니다. 학원에서 가르치는 곳이 있어요..;;(제가 아는 그 곳이 지금은 


없어졌다는 얘기가 있네요.;)


 학원 과정을 마치면 대부분 수타면을 뽑을 수가 있습니다. 어찌 보면 당연하게 느껴지기 해요.


 중국에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수타면 인력이 있을텐데, 비기라면 그 많은 사람들이 할수 있을리가


 없겠죠.


 순수 밀가루와 물의 반죽으로만 하면 더욱 어려워지는데, 소다, 면첨가제 등을 쓰면 훨씬 쉬워집니다.


 그냥 면을 어느 정도 뽑는거는 의외로(그렇다고 절대 쉽다는게 아닙니다. 연습 많이 해야 합니다) 


많이 어려운 것이 아니고, 얼마나 균일하게 뽑는가, 결정적으로 하루에 그 반죽을 다 뽑아낼 속도와


체력이 되는가가 훨씬 중요합니다.



 실제로 수타면 하는 집에 가서 먹어본 적 있는데, 어떤건 새끼손가락 만하고 어떤건 소면 수준이고,


그렇게 뽑는 곳이 있더라고요...; 분명 그 정도면 업장에 있으면 안 되는 것 같은데, 그래도 


수타면이라고 장사가 되긴 하나 봅니다.;; 실력이 출중한 수타면장이 있는 곳이라면 훨씬 균일하게 나왔을텐데.

BIG
SMALL

 심한 악필인 저는 제가 봐도 제 글씨가 상당히 정신 없다는 것을 잘 알고, 가끔 제 글씨를 못 알아보기도 합니다;;


지금은 제 악필을 제가 제어하기가 거의 불가능하지만 어릴 때는 대충 쓰기와 괜찮게 쓰기가 다 가능했습니다.


 대신 대충 쓸 때가 편하고 훨씬 빨랐죠.








 

그런데 약간 산만하고 행동 자체가 느린 편이라 정해진 과제를 다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대충 쓰기 모드로 글씨를 


쓰는 경우가 많았어요. 그 결과 선생님들에게 글씨 못 쓴다는 이미지가 따라다녔던 것 같아요. 반면 잘 쓰는 학생은


예쁨을 많이 받았죠.ㅜ


성인이 되고보니, 악필 여부가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IT기기 보급이 큰 영향을 미친 것 같아요.


그러고보니 주변 인물들이 악필인지,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인지 잘 모르겠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90년대 초,중반에는 전봇대나 벽에 전단 광고가 붙어있고, 신문 광고로도 악필 교정학원들을 볼수 있었는데..ㅎ


아마도 당시에는 사회인들도 글씨를 잘 쓰면 뭔가 훨씬 좋은 문화가 있었겠다 싶어요.


지금은 악필이어도 별 문제 없는 것 같아요.. (그렇다고 악필인게 좋은 것은 아니겠지만) 반면 컴퓨터 타자를 못 치면


더 문제겠죠. 


새삼 세상 참 많이 변했다고 느낍니다. 





BIG

+ Recent posts